라비니아 폰타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비니아 폰타나는 1552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태어난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다. 그녀는 아버지인 화가 프로스페로 폰타나에게 미술 교육을 받았으며, 볼로냐 상류층의 초상화를 그리며 명성을 얻었다. 1577년 결혼 후에도 그림을 계속 그렸으며, 로마로 이주하여 교황 바오로 5세의 초상화를 그리기도 했다. 폰타나는 초상화뿐 아니라 종교화, 신화화 등 다양한 장르의 그림을 그렸으며, 여성 예술가로서 드물게 누드화를 시도하기도 했다. 그녀는 산 루카 아카데미아에 선출되었으며, 1614년 로마에서 사망했다. 폰타나는 1700년 이전의 여성 화가 중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것으로 평가받으며, 후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14년 사망 - 엘 그레코
엘 그레코는 비잔틴 미술을 익히고 베네치아와 로마를 거쳐 스페인 톨레도에서 독창적인 화풍을 확립한 화가, 조각가, 건축가이며, 매너리즘의 영향을 받아 인물을 길게 늘이고 강렬한 색채와 빛으로 종교적 감성을 표현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 등이 있다. - 1614년 사망 - 모가미 요시아키
모가미 요시아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데와 국 야마가타 지역을 다스린 다이묘로, 뛰어난 지략과 무력을 통해 데와 국 통일을 이루고 야마가타 번을 창설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도 번영을 누렸으나 후계자 문제로 가문이 개역되었다. - 17세기 화가 - 귀도 레니
귀도 레니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 화가로, 볼로냐에서 미술을 배워 카라바조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라파엘로풍의 고전주의 양식을 발전시켜 《아우로라》, 《무고한 어린이 학살》 등의 대표작을 남기며 당대 "라파엘로의 재림"이라 불릴 정도로 명성을 얻었고 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7세기 화가 - 엘 그레코
엘 그레코는 비잔틴 미술을 익히고 베네치아와 로마를 거쳐 스페인 톨레도에서 독창적인 화풍을 확립한 화가, 조각가, 건축가이며, 매너리즘의 영향을 받아 인물을 길게 늘이고 강렬한 색채와 빛으로 종교적 감성을 표현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오르가스 백작의 매장》 등이 있다. - 1552년 출생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중국에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선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서양 학문과 기독교를 소개하고 중국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 1552년 출생 - 한백겸
한백겸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고증학적 방법론을 통해 조선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여 실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정여립의 난 연루와 임진왜란 공훈 등의 부침을 겪었으나 《동국지리지》를 저술하여 기자정전 유적을 주장하는 등 후대 실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라비니아 폰타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라비니아 폰타나 |
출생 | 1552년 8월 24일 |
출생지 | 볼로냐, 교황령 |
사망 | 1614년 8월 11일 (61세) |
사망지 | 로마, 교황령 |
안장지 |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 로마 |
영향 받은 사람 | 프로스페로 폰타나 |
교육 | |
사사 | 프로스페로 폰타나 드니 칼바에르트 루도비코 카라치 |
모교 | 볼로냐 대학교 |
경력 | |
활동 시기 | 매너리즘 |
배우자 | 1577년 6월 잔 파올로 차피와 결혼 |
자녀 | 11명 |
후원자 | 교황 그레고리오 13세 교황 클레멘스 7세 교황 바오로 5세 |
소속 | 산 루카 아카데미아 회원 |
![]() | |
작품 | |
대표작 | 《자화상》(1600년경) 우피치 미술관 소장 |
2. 생애
라비니아 폰타나는 1552년 8월 24일 볼로냐에서 르네상스 시대 화가 프로스페로 폰타나의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 프로스페로는 당시 볼로냐에서 명망 있는 화가였으며, 라비니아에게 직접 그림을 가르쳤다. 당시에는 자식이 가업을 잇는 것이 일반적이었다.[7]
1575년, 23세에 그린 초기작 'Child of the Monkey'는 현재 소실되었다. 1576년에 완성된 'Christ with the Symbols of the Passion'은 현재 엘패소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 라비니아는 다양한 장르의 그림을 그렸는데, 초기에는 볼로냐 상류층 인사들의 초상화를 그려 유명해졌고, 이후 남성과 여성 누드를 포함한 대형 종교화를 그리기도 했다.
1577년, 이몰라 백작 잔 파올로 자피(Giovan, Fappi라고도 표기)와 결혼하여 11명의 자녀를 낳았으나, 3명만이 라비니아보다 오래 살았다. 라비니아는 결혼 후에도 그림으로 생계를 이어나갔고, 남편 자피는 가사일과 함께 그림의 천이나 배경 등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그리며 그녀를 도왔다.
1603년, 교황 클레멘스 8세의 초청으로 가족과 함께 로마로 이주하여 교황 그레고리오 13세 가문인 부온콤파니 가문의 후원을 받았다. 로마에서도 성공을 거두어 교황 바오로 5세의 초상화를 그리기도 했다. 1614년 8월 11일 로마에서 사망했다.
2. 1. 볼로냐에서의 초기 생애와 교육 (1552년 ~ 1603년)
라비니아 폰타나는 1552년 8월 24일 볼로냐에서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화가 프로스페로 폰타나의 딸로 태어나,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서 세례를 받았다.[5][6] 아버지 프로스페로는 당시 볼로냐 학교에서 인망있는 화가였으며, 라비니아를 직접 가르쳤다. 당시에는 자식이 가업을 잇는 것이 일반적이었다.[7] 그녀는 후에 프로스페로의 제자였으며 볼로냐에서 영향력 있는 미술 학교를 운영했던 네덜란드 출신 화가 데니스 칼바에르트 밑에서 공부했다.[3]1575년, 23세에 그린 초기작 'Child of the Monkey'는 현재 소실되었다. 1576년에 완성된 'Christ with the Symbols of the Passion'은 현재 엘패소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8] 그녀는 다양한 장르의 그림에 관심을 가졌고, 볼로냐 상류층 인사들의 초상화와 남성과 여성 누드를 포함한 거대한 크기의 종교적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1577년, 이몰라 백작 잔 파올로 자피(Giovan, Fappi라고도 표기)와 결혼했다.[11] 결혼 계약은 그녀가 경력을 유지하고 가사를 책임지지 않아도 된다는 드문 내용을 포함했다.[11] 11명의 자녀 중 3명(플라미니오, 오라치오, 프로스페로)만이 그녀보다 오래 살았다.[14] 라비니아는 그림으로 생계를 이어나갔고, 자피는 가사일과 함께 천이나 배경의 사물 등 그림의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그리며 그녀를 도왔다. 폰타나는 볼로냐 대학교에서 수업을 들었고, 1580년에 볼로냐의 ''Donne addottrinate'' (박사 학위를 가진 여성) 중 한 명으로 등재되었다.[15][16]
1580년대에 그녀는 볼로냐 귀부인들의 초상화가로 명성을 얻었으며, 소라 공작 부인 콘스탄차 스포르차 봉콤파니를 포함한 여러 여성들이 초상화를 의뢰하고 폰타나 자녀들의 대모가 되기도 했다.[17][18]
2. 2. 로마에서의 활동과 말년 (1603년 ~ 1614년)
1603년, 라비니아 폰타나와 가족은 교황 클레멘스 8세의 초청으로 로마로 이주했다.[20] 그곳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의 출신 가문인 부온콤파니 가문의 후원을 받았다. 라비니아는 볼로냐에서처럼 로마에서도 성공을 거두었으며, 교황 바오로 5세를 비롯한 여러 인물들의 초상화를 그렸다.[20]폰타나는 초상화뿐만 아니라 상당수의 제단화도 제작했는데, 이는 여성 화가로서는 드문 일이었다.[21] 그녀는 팔레오티의 반종교개혁 미술 원칙을 따랐다.[22] 1593년에는 추기경 가브리엘레 팔레오티의 의뢰로 볼로냐의 산 피에트로 교회 예배당 제단화인 ''성모 승천''을 제작했다.[23] 같은 해, 벤티볼리오 가문의 의뢰로 피에베 디 센토의 산 프란체스코 올트레 레노 교회에 또 다른 ''성모 승천''을 그렸다.[23] 폰타나는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와 교황 클레멘스 8세로부터도 작품 의뢰를 받았다.[24]
폰타나는 신화적, 우화적 주제의 그림도 그렸는데, 특히 여성 누드를 과감하게 묘사한 그림들은 당시 여성 예술가로서는 매우 드문 시도였다. 그녀의 마지막 작품인 ''옷을 입는 미네르바''(1613)는 그녀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3]
폰타나는 로마의 산 루카 아카데미아에 선출된 최초의 여성이었으며,[25] 1611년에는 조각가이자 건축가인 펠리체 안토니오 카소니가 주조한 청동 초상 메달을 받는 등 많은 명예를 얻었다.[26]

진 오웬스 섀퍼에 따르면, 메달 뒷면에는 그림을 나타내는 우화적인 인물인 피투라가 묘사되어 있으며, 이는 체사레 리파가 1603년에 묘사한 피투라의 최초의 시각적 표현이라고 한다.[27]
라비니아 폰타나는 1614년 8월 11일, 로마에서 61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에 묻혔다.
3. 작품 세계
라비니아 폰타나의 초상화는 귀도 레니의 작품으로 오인되기도 했는데, 《비너스》, 《잠자는 아기 예수에게서 베일을 벗기는 성모》, 《솔로몬을 방문한 시바의 여왕》 등이 대표적이다.[3] 자화상은 그녀의 최고 걸작으로 꼽히며, 현재는 남편 가문인 이몰라의 자피 백작가가 소유하고 있다.[3]
초기에는 아버지의 화풍을 따랐으나, 점차 베네치아풍의 강렬한 색채를 띤 카라치 가문(아고스티노, 안니발레, 루도비코)의 화풍을 받아들였다.[3] 소포니스바 안구이솔라에게도 영향을 받았다.[3]
옛 문헌에는 작품이 100점을 넘는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현재 서명과 날짜가 확인되는 것은 32점뿐이며, 그중 확실한 것은 25점 정도이다.[3] 1700년 이전의 여성 화가 중에서는 가장 많은 작품 수이다.
3. 1. 다양한 장르와 주제
라비니아 폰타나의 초상화는 귀도 레니의 작품으로 오인되기도 했는데, 《비너스》, 《잠자는 아기 예수에게서 베일을 벗기는 성모》, 《솔로몬을 방문한 시바의 여왕》 등이 대표적이다.[3] 라비니아의 자화상(젊은 시절에는 더 아름다웠다고 전해진다)은 그녀의 최고 걸작으로 꼽히며, 현재는 라비니아 남편 가문인 이몰라의 자피 백작가가 소유하고 있다.[3]라비니아는 젊은 시절 아버지의 화풍을 따랐으나, 점차 베네치아풍의 강렬한 색채를 띤 카라치 가문(아고스티노, 안니발레, 루도비코)의 화풍을 받아들였다.[3]
옛 문헌에는 라비니아의 작품이 100점을 넘는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현재 서명과 날짜가 확인되는 것은 32점뿐이다. 그중 라비니아의 작품임이 확실한 것은 25점 정도이다.[3] 그럼에도 1700년 이전의 여성 화가 중에서는 가장 많은 작품 수이다. 소포니스바 안구이솔라는 라비니아에게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3]
3. 2. 예술적 특징과 영향
그녀의 초상화 작품들은 귀도 레니의 작품으로 혼동되곤 했다. 《비너스》, 《잠자는 아기 예수에게서 베일을 벗기는 성모》, 《솔로몬을 방문한 시바의 여왕》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라비니아의 자화상(젊은 시절에는 더 아름다웠다고 전해진다)은 그녀의 최고 걸작으로 꼽히며, 현재 이몰라의 자피 백작가가 소유하고 있다.라비니아의 초기 스타일은 아버지 프로스페로 폰타나와 유사했다. 루도비코 카라치의 제자였던 그녀는 점차 카라치식 스타일을 채택했으며, 강렬한 준(準)베네치아 색채를 사용했다.[1] 소포니스바 앙귀솔라, 카테리나 비그리, 프로페르치아 데 로시는 폰타나의 예술 경력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29] 특히, 동시대 여성 화가였던 소포니스바 안구이솔라에게서도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매너리즘의 영향은 폰타나가 그림에서 세부 묘사에 주의를 기울이고, 대상 주변의 물질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서 두드러진다.[32] 그녀는 세부 묘사에 꼼꼼하여 대상의 부를 보여주었고, 이는 그녀를 부유한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게 했다.[33]
반(反)종교개혁과 트렌토 공의회의 종교 미술 권고는 폰타나가 그림에서 주제와 테마를 다루는 방식을 규정했다.[30] 딸, 아내, 어머니로서의 뛰어난 지위는 당시의 도덕적 기준 때문에 그녀의 경력에 필수적인 조건이었다.[29] 로마 가톨릭 교회가 가족의 가치를 강조하면서 가족과 아이들의 초상화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다.[31]
폰타나의 자화상은 예술가를 훌륭한 여성으로, 그리고 전문 예술가로 묘사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보여주는 방식은 16세기 여성 예술가들에게 흔했다.[34]
옛 문헌에는 라비니아의 작품이 100점을 넘는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현재 서명과 날짜가 확인되는 것은 불과 23점뿐이다. 그중 라비니아의 작품임이 확실한 것은 25점 정도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1700년 이전의 여성 화가 중에서는 가장 많은 수이다.
3. 3. 논란: 누드화
예술 사학자들 사이에서는 폰타나가 그림에서 남성과 여성의 누드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과 모델에 대한 논란이 있다.[1] 폰타나는 아버지의 조각상과 석고상 컬렉션을 연구했지만, 리아나 데 지롤라미 체니는 인물의 자연스러움으로 보아 폰타나가 살아있는 누드 모델을 사용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4] 캐롤라인 P. 머피는 신체 부위는 잘 묘사되었지만, 전체적으로 인물이 균형이 맞지 않으며, 이는 프로스페로가 인체 해부학을 묘사한 것과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머피는 폰타나 생전에 여성에게 누드 노출은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었고, 만약 그녀가 살아있는 누드 모델을 사용한 것이 밝혀지면 명성이 훼손되었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머피는 소포니스바 앙귀솔라처럼 폰타나가 가족 구성원을 모델로 삼았을 것이라고 제안한다.[40] 린다 노클린은 예술 아카데미에서 여성은 예술가의 훈련에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누드도 볼 수 없도록 금지했다고 기록한다.[41]4. 주요 작품
Self-Portrait with the Spinet Accompanied by a Handmaiden|버제널을 연주하는 자화상과 하인it (1577년) - 로마 국립 산 루카 아카데미아 소장
Consecration to the Virgin|성모에게 봉헌it - 마르세유 미술관 소장, 원래 볼로냐 산타 마리아 데이 세르비의 그네티 예배당에 있었음
Portrait of a Lady with Lap Dog|애완견을 데리고 있는 여인의 초상it (1595년경) - 볼티모어 월터스 미술관 소장
Portrait of Gerolamo Mercuriale|제롤라모 메르쿠리알레의 초상it (1587년~1590년경) - 볼티모어 월터스 미술관 소장
Noli me tangere|날 만지지 마세요it (1581년) - 피렌체 우피치 미술관 소장
Assumption of the Virgin with Saints Peter Chrysologus, and Cassian|성 베드로 크리솔로고, 카시안과 성모 승천it (1584년) - 이몰라 시청사 소장
Portrait of the Coozzadini Family|고차디니 가족의 초상it (1584년) - 볼로냐 국립 미술관 소장
Holy Family|성 가족it (1589년) - 마드리드 외곽 엘 에스코리알 수도원 소장
Birth of Virgin|성모 탄생it - 볼로냐 성삼위일체 교회 소장
Portrait of a Couple|부부의 초상it (1580년~1585년) - 클리블랜드 클리블랜드 미술관 소장
Deposition|그리스도의 하강it (1581년) - 코넬 미술관[8] 소장
Jesus among the Doctors|의사들 사이의 예수it - 볼로냐 산 도메니코 대성당의 묵주 경당에 있는 묵주 신비의 일부
Portrait of Noblewoman|귀부인의 초상it - 워싱턴 D.C. 국립 여성 미술관 소장
Dead Christ with Symbols|상징과 함께 있는 죽은 그리스도it (1581년) - 플로리다 윈터 파크 코넬 미술관[8] 소장
Ritratto di neonata nella culla|요람 속의 신생아it - 볼로냐 국립 미술관 소장
Visit of the Queen of Sheba to King Solomon|시바 여왕의 솔로몬 왕 방문it (1599년) - 더블린 아일랜드 국립 미술관 소장
Mars and Venus|마르스와 비너스it (1600년~1610년경) - 알바 재단, 마드리드 소장
Minerva Dressing|옷을 입는 미네르바it (1613년) - 로마 보르게세 미술관 소장
5. 유산
폰타나는 "16세기의 가장 중요하고 다작의 여성 예술가"로 불린다.[4]
폰타나의 ''하프시코드를 든 자화상과 하인''은 그녀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폰타나는 라틴어 비문에 자신을 처녀라고 묘사하고 거울을 보며 그림을 그렸다고 밝혀 묘사의 정확성을 입증하며, 자피 가문에 약혼 선물로 그려졌다.
폰타나의 작품 100점 이상이 기록되어 있지만, 오늘날 서명과 연도가 있는 작품은 32점 밖에 알려져 있지 않다. 그녀에게 25점의 작품이 더 귀속되어 1700년 이전의 여성 예술가 중 가장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녀의 초상화 중 일부는 한때 그녀의 동시대인인 귀도 레니에게 잘못 귀속되었는데, 그는 드니 칼바르트의 또 다른 제자였다.
폰타나의 누드 인물이 등장하는 신화 그림은 미술사학자들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미네르바, 마르스, 비너스와 같은 로마 신들은 이 그림들에서 다양한 형태의 노출로 묘사된다. 동시대 여성 예술가들이 이처럼 누드 인물을 묘사했다는 증거는 거의 또는 전혀 없다.[35] 폰타나의 신화 묘사는 여성 예술가가 이 장르에 처음으로 참여한 것일 수 있다는 말이 있다.[36] 폰타나는 당시 여성 화가들이 따라야 할 새로운 주제, 즉 특히 누드 여성 인물의 묘사(예: 그녀의 누드 미네르바와 비너스)에서 볼 수 있듯이 신화적 주제를 구성하는 데 뛰어났다. 폰타나의 새로운 장르는 17세기에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가 여성 누드를 묘사하는 길을 열었다.[4]
폰타나는 파올로 베로네세의 ''여인의 초상''(1595)의 주제로 영원히 기억된다.[37] 그녀는 줄리오 만치니의 ''회화에 대한 고찰''에 등장한 유일한 여성 예술가였다. 그녀의 그림의 자연주의는 매우 칭찬받고 있으며, 그림의 아름다움은 그녀 자신의 신체적 매력과 연결되어 있다.[38]
폰타나는 알베르토 데 로시와 알레산드로 티아리니에게 영향을 미쳤다. 아우렐리오 보넬리는 그녀에게서 배운 것으로 보인다.[39]
참조
[1]
서적
Lavinia Fontana: A Painter and Her Patrons in Sixteenth-Century Bologna
Yal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Artist Profile: Lavinia Fontana
http://nmwa.org/expl[...]
National Museum of Women in the Arts
2013-03-29
[3]
서적
50 Women Artists You Should Know
https://archive.org/[...]
Prestel
[4]
간행물
Lavinia Fontana's nude Minervas
2015
[5]
서적
Great Women Artists
Phaidon Press
2019
[6]
서적
Lavinia Fontana: A Painter and Her Patrons in Sixteenth-Century Bologna
Yale University Press
[7]
서적
Lavinia Fontana: A Painter and Her Patrons in Sixteenth-Century Bologna
Yale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Cornell Fine Arts Museum, Collection Overview
http://www.rollins.e[...]
Rollins College
2014-02-22
[9]
웹사이트
Lavinia Fontana: Renaissance Artist
https://scma.smith.e[...]
2021-03-09
[10]
서적
Lavinia Fontana: A Painter and Her Patrons in Sixteenth-Century Bologna
Yale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Art in Short: Lavinia Fontana, Renaissance Woman
https://www.famsf.or[...]
2024-05-07
[12]
서적
A companion to Renaissance and Baroque art
http://worldcat.org/[...]
Wiley-Blackwell
2013
[13]
서적
Lavinia Fontana of Bologna 1552–1614
Electa
[14]
간행물
Lavinia Fontana, Boston 'Holy Family'
1984
[15]
웹사이트
Brooklyn Museum: Lavinia Fontana
https://www.brooklyn[...]
2018-03-08
[16]
서적
Lavinia Fontana: A Painter and Her Patrons in Sixteenth-Century Bologna
Yale University Press
[17]
간행물
Lavinia Fontana and 'Le Dame della Citta': understanding female artistic patronage in late sixteenth-century Bologna
1996
[18]
간행물
Lavinia Fontana and 'Le Dame della Città': understanding female artistic patronage in late sixteenth-century Bologna
1996
[19]
웹사이트
Portrait of a lady with a dog
https://www.auckland[...]
Auckland Art Gallery
2021-11-30
[20]
서적
Self-Portraits by Women Painters
Ashgate
[21]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Women Artist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1
[22]
논문
La Donna e La Maniera Devota:Lavinia Fontana, Sacred Imagery and the Natural Sciences in Sixteenth-Century Bologna
https://spectrum.lib[...]
Concordia University
2018
[23]
간행물
Lavinia Fontana: An artist and her society in late sixteenth-century Bologna
https://www.proquest[...]
1996
[24]
간행물
Lavinia Fontana's 'Self-Portrait Making Music'
https://www.jstor.or[...]
1998
[25]
웹사이트
Lavinia Fontana Conservation and Research Project {{!}} National Gallery of Ireland
https://www.national[...]
2024-03-04
[26]
웹사이트
Lavinia Fontana, 1552–1614, Bolognese Painter by Felice Antonio Casone
http://www.nga.gov/f[...]
National Gallery of Art
2013-03-29
[27]
간행물
A Note on the Iconography of a Medal of Lavinia Fontana
1984
[28]
웹사이트
Portrait of Bianca degli Utili Maselli and Her Children
https://www.famsf.or[...]
2024-05-06
[29]
서적
Lavinia Fontana of Bologna 1552–1614
Electa
[30]
문서
Rocco (2017).
[31]
서적
Lavinia Fontana of Bologna 1552–1614
Electa
[32]
서적
Self-Portraits by Women Painters
Ashgate
[33]
간행물
Review of Lavinia Fontana: A Painter and Her Patrons in Sixteenth-Century Bologna
https://www.jstor.or[...]
2005
[34]
문서
Frances Borzello, ''Seeing Ourselves: Women's Self-Portraiture'' 1998
[35]
간행물
Lavinia Fontana's Nude Minervas
[36]
서적
A Tale of Two Women Painters: Sofonisba Anguissola and Lavinia Fontana
2024-12-01 #December 2024 -> 2024-12-01로 임의로 설정
[37]
서적
Self-Portraits by Women Painters
Ashgate
[38]
서적
Life Stories of Women Artists, 1550–1800
Ashgate
[39]
서적
Lavinia Fontana: A Painter and Her Patrons in Sixteenth-Century Bologna
Yale University Press
[40]
서적
Lavinia Fontana: A Painter and Her Patrons in Sixteenth-Century Bologna
Yale University Press
[41]
서적
Women, Art, and Power and Other Essays
Harper & Row
[42]
웹사이트
Zappi家 홈페이지
http://www.zappi.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